#HTTP 응답코드?
HyperText Transfer Protocal의 준말인 HTTP는 요청/응답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웹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에서 이 HTTP를 통해 요청와 응답을 주고받는 것이죠.
우리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원하는 페이지를 요청을 했을 시, 맞는 정보를 서버가 나타내 줄 수있고 오류도 날 수가 있습니다. 이 때 404 등의 오류창도 이러한 응답중 하나로 마주하게 됩니다. 이 숫자들은 무작위 숫자가 아닌 어떤 오류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기에 웹개발자가 각 코드를 숙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XX | 조건부 응답 |
2XX | 성공 |
3XX | 리다이렉션 완료 |
4XX | 요청 오류 |
5XX | 서버오류 |
1XX: 상태-라인& 선택적 헤더만 포함하는 임시 응답을 나타냄, 빈 라인에서 종결
100 | 계속 |
101 | 프로토콜 전환 |
102 | 처리 |
2XX: 클라이어트가 요청 동작을 수신 및 이해, 승낙하고 성공적으로 처리함
200 | 성공 |
201 | 작성됨 |
202 | 허용됨 |
203 | 신뢰할 수 없는 정보 |
204 | 콘텐츠 없음 |
205 | 콘텐츠 재설정 |
206 | 일부 콘텐츠 |
207 | 다중상태 |
208 | 이미 보고됨 |
226 | IM Used |
3XX: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마치기 위한 추가 동작을 요구
300 | 여러 선택항목 |
301 | 영구 이동 |
302 | 임시 이동 |
303 | 기타 위치 보기 |
304 | 수정되지 않음 |
305 | 프록시 사용 |
307 | 임시 리다이렉션 |
308 | 영구 리다이렉션 |
4XX: 클래스 상태코드 혹은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냄
굉장히 많으므로 대표적인 것만 선별
403 | 금지 |
404 | 찾을 수 없음 |
410 | 사라짐 |
5XX: 서버가 유효한 요청을 명확하게 수행 하지 못함
500 | 내부 서버 오류 |
501 | 구현되지 않음 |
502 | 게이트웨이 불량 |
503 | 서비스 사용불가 |
504 | 게이트웨이 시간초과 |
505 | HTTP버전 지원되지 않음 |
506 | Variant Also Negotiates |
507 | 용량부족 |
508 | 루프 감지됨 |
509 | 대역폭 제한 초과 |
510 | 확장되지 않음 |
511 | 네트워크 인증 필요 |
520 | 알 수 없음 |
598 | 네트워크 읽기 시간초과 오류, 알 수 없음 |
599 | 네트워크 연결 시간초과 오류, 알 수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