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pringEvent와 MessageQueue기존에 MessageQueue로서 RabbitMQ, Kafka를 고려할 때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SpringEvent도 후보에 있었다.SpringEvent도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아이인데 추가적인 외부 도구 설정은 필요없다. 내부에서 비동기 작업이나 트리거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고, Application 내에서 처리가 되니 디버깅이나 로깅도 편하다. 간편한데 안 쓴 이유분산환경에는 얘가 알맞지 않다. 그야 SpringEvent는 이벤트의 발생과 Listener 호출이 동일한 JVM내에서 처리하다보니, A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Publish 호출을 B 애플리케이션의 Listener가 알 리가 없다. 클러스터 환경에선 다른 서버 노드로이벤..
목표MariaDB가 두 서버에 존재한다. 하나는 Master로, 하나는 Slave의 역할을 맡는다.이때, Slave는 Backup서버로서 Master의 장애 발생 시 I/O작업을 대체할 것이며, 이후 기존 Master와 Slave의 역할이 서로 교환되도록 하고 싶다. 그리고 ProxySQL이나 MHA같은 미들웨어가 이들을 중재하지 않을 때를 가정하여 수동으로 이 둘의 역할을 교환할 것이다. GTID 복제방식을 이용할 건데, MySQL와 MariaDB의 명령어는 차이가 있어 참고자료를 찾는다면 공식문서를 활용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Global Transaction IDImproved replication using global transaction IDs.mariadb.com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