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seState()
2. 사용법
- 리액트 패키지에서 useState 함수를 불러온다
- import Ract, {useState] from ‘react’;
- useState함수 호출을 통해 배열을 반환시킨다
- const [상태 값 저장 변수, 상태 값 갱신 함수] = useState(상태 초기 값);
- 상태 값 갱신 함수, setNumber 라고 지정해줬다고 치자. 여기엔
- 업데이트 할 새로운 값을 넣어줄 수 있다. setNumber(number+1)
- 기존 값을 업데이트 하는 함수를 넣어줄 수 있다. setNumber(preNum ⇒ preNum +1)
3. 예시
import React, {useState} from 'react';
function InputTest() {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0); // number에 초기 상태값으로 0을 저장시킴
const onClick = () => { // 단순 클릭이 들어온다면, (파라미터로 들어 온 게 없으면)
setNumber(preNum => preNum +1); } // setNumber는 불러온 파라미터를 1증가시켜 내보낸다
const onChange = (e) => { // 특정 이벤트가 들어온다면, 해당 연결된 값으로 number를 update
setNumber(e.tartget.value);
};
return (
<div>
<input onChange = {onChange} value={number} />
<button onClick={onClick}> 1증가됨 </button>
<div>
<b> 바뀐내용: {number} </b>
</div>
</div>
);
}
export default Input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