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이유로, AWS를 제대로 해야겠다 결심 (oo )>
공식 홈페이지로 가자.
아마존 웹서비스의 주요 서비스로 이런 게 있다.
이중 내가 경험해 본건 EC2와 S3. 뭘 알고 썼던 건 아니다. 이젠 좀 알고 써 보자.
왜 주요서비스를 알아야 하는가
에초에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이렇다
1️⃣ Amazon EC2를 이용한다
2️⃣ EC2를 통해 가상 서버를 띄운다
3️⃣ Docker 컨테이너를 배포한다
더 편하게 쓰고 싶지 않은가?
AWS에선 유저의 규모와 요구사항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많은 컨테이너 서비스를 만들었다
🍊: 긍까, 준비해줬다는데 써보자는 거지.
규모에 따른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제공
나의 프로젝트(웹, 컨테이너)가 간단하다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Amazon Lightsail, AWS Elastic Beanstalk, Amazon ECS, Amazon EKS
- 이 중, 두 가지만 사알짝 살펴보자
- 가장 기본적인 ECS, 그리고 몇달 새로 많이 들었던 쿠버네티스 관련의 EKS.
Amazon ECS
- 가장 오래된 클라우드 기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
가장 큰 장점? 단순함!
- 기존의 AWS서비스를 잘 결합하여 컨테이너 배포에 맞도록 서비스를 만들었음
- 컨테이너 구축 및 배포에 대한 경험이 없다면, EC2로 시작하는 것을 권장함.
🍊: 이것부터 다시해야겠는데 그럼(기억이 안나그든)
Amazon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
- 오픈 소스 중 하나인 Kubernetes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AWS에서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는 서비스
- upstream Kubernetes를 실행 → 완전관리형 EKS 클러스터 실행 가능해짐
- 즉, 오픈소스 생태계의 도구에 익숙하며 이를 통한 결합/운영 노하우가 존재하다면 사용하기 적합함
EC2 (Elastic Compute Cloud) 자세히 보기
기본특징
- 인터넷을 통해서만 접속 가능
- 빠른 생성 가능, 즉시 제거 가능
- 비용 측정방식: 초단위
- 발생지출 줄이기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 온사이트 데이터 설치 운영
EC2는 어떤 서비스인가
- 가상의 컴퓨터를 빌려주는 서비스
- 가상이지만 실제 컴퓨터와 동일하게 사용
- 가상컴퓨터에 운영체제/프로그램 설치를 통한 서버 구축
- 안전하고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클라우드에서 제공
- EC2는 물리적인 것이 아닌, 아마존에서 세계 각 지역에 만들어 놓은 인프라(데이터센터)에서 만들어짐
-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해야하는 이유
- 웹 서버를 설치 → 해당 웹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 요청하는 정보 제공
클라우드?
- 일반적인 사용자가 복잡한 내부를 ‘굳이 알 필요 없이' 자기가 원하는 작업을 이루도록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이라하면, 이 구름같은 클라우드 속에 클라우드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인 것이다.
S3 (Simple Storage Service)
기본 특징
- 많은 사용자가 접속해도 이를 감당하기 위한 시스템적 작업을 필요로 않는다
- 저장할 수 있는 파일 수 및 용량 제한이 없다
- 저속 제어 및 권한 관리가 가능하다
S3는 어떤 서비스인가
- 데이터 저장/추출을 가능하게하는 온라인 스토리지
- 즉, 파일 서버의 역할
- HTTP프로토콜로 파일에 접근 가능
- Key:value(파일명:파일자체)의 객체 형태로 파일 저장
- 하나의 저장 공간 구성 → 해당 공간에 데이터를 자유롭게 upload/download
Lambda
기본 특징
- EC2와 달리, 별도의 서버 세팅 없이 곧바로 코드를 함수로 실행
-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과금될 것이 없다
- 서버 세팅이 필요 없기에 빠른 제품 개발시 유리함
- 서버 수정, 사양조정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면 EC2 선택이 옳음
- 비용 책정 방식: 초 단위
다음엔 서버리스 서비스에 더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