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서,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협하는 웹 서비스(2019)를 토대로 공부한 내용입니다. 1. 테스트 코드 관련 개념 1.1. TDD란 TDD: 테스트가 주도하는 개발 즉,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는 것부터 시작 1.1.1. TDD-레드 그린 사이클 실패하는 테스트를 먼저 작성한다 (RED) 테스트가 통과하는 프로덕션 코드를 작성한다 (GREEN) 테스트 통과시 프로덕션 코드를 리팩토링한다 (Refactor) 1.2. 단위 테스트란 TDD의 첫 단계인 기능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 테스트 코드를 굳이 먼저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리팩토링이 포함되지 않는다 테스트 코드만 작성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1.2.1. 테스트 코드 작성 이유 단위 테스트는 개발단계 초기 문제를 발견하게 도움 단위 테스트는 개발자가 ..
초기 build.gradle파일에 자바 개발에 가장 기본 설정만 적혀있다. 이제 필요한 설정을 추가할 것인데, 스프링 이니셜라이저를 통한 진행은 안 함. 왜냐, R1: 스프링 이니셜라이저 이용시 build.gradle코드 역할 이해 어려움 R2: 이니셜라이저외의 의존성 추가 방법을 알 수 없다 1. Build.gradle의 기존 코드-추가작성를 통해 설정 이해하기 그런데 이 책의 2019기준와 현재 2021.12에서 작성방법이 달라졌기에 지은이의 최신 버전을 위한 코드 업데이트 작성글을 참고해서 수정한다. 참고블로그 이동 1.1. 플러그인 의존성 관리 설정 buildscript{ ext { // ext = build.gradle에서 사용하는 전역변수를 설정하겠다 springBootVersion = '2...
1. 인텔리제이-스프링부트 시작하기 1.1. 목표 소규모 웹 서비스를 만들자 로컬 뿐만 아니라 실제 url주소를 가진, ci/cd환경을 갖춘 서비스를 만들자 자바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자 애플리케이션 개발 지식과 서버 인프라(aws) 지식을 배우자 해당 과정 대상자: 학생, 주니어 개발자 1.2. 목차별 분량 1장~5장: 전반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스프링부트/jpa/시큐리티/소셜로그인), TDD 6장, 7장: aws 인프라 사용법/서비스 설정, RDS주의사항/설정 8장~10장: 프로젝트를 aws인프라에 본격 배포/개선, 무중단 배포 환경 구축 1.3. 개발환경 JAVA 8(jdk 1.8) Gradle 4.8 2. 인텔리제이란 ? 2.1. 인텔리제이 특징/장점 강력한 추천 기능 다양한 리팩토링/디버깅..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