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art의 const와 finalFlutter를 시작하려면 Dart 언어를 알아야하는데, 기본적인 자료형 외에도 필수로 적할 키워드가 있다.바로 const와 final인데 이 두 키워드는 불변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사용목적은 다르다. Java나 JavaScript를 이미 해 본 사람이라면 이 키워드 자체는 익숙한데 또 그것과 다른 점도 있다. ✔️ final의 특징런타임을 포함해 한 번만 할당 가능하다final로 선언된 변수는 한 번만 값을 할당할 수 있다. 할당 시점은 런타임을 포함해 언제든 가능하지만 그 이후 다시 변경할 수 없다.final name = 'Flutter'; name = 'Dart'; // Error: name is final and cannot be reassigned.위는 선언 시 할..
시작은 쪼끄맣게뭐든지 성취는 작은 것부터 하랬다. 당장에 결과를 볼 수 있는 세미 프로젝트부터 해봤다.JS로 만드는 환율 계산기이며 성취할 목록은 아래와 같다. - 크롬 앱을 만든다- 환율 변환 OpenAPI를 이용한다- 사용자는 A통화로부터 B통화로 변환시킬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최근 사용한 통화목록을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로고부터 만들어보자 Microsoft Designer - Stunning designs in a flashA graphic design app that helps you create professional quality social media posts, invitations, digital postcards, graphics, and more. Start with your..
Page페이지(Page)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가장 작은 물리적 단위다.디스크와 메모리 간 데이터 이동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데 이런 특징이 있다. 첫 째, 일반적으로 고정 크기를 갖는다. 가령 PostgreSQL에선 8KB고, MySQL에서는 16KB로 DBMS에 따른 차이가 있다.둘 째, Page는 여러 행을 갖고 있다. 하나의 페이지에는 많~은 데이터 행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셋 째, 데이터베이스가 Disk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이 페이지 단위로 작업을 한다. 그러니 얘 때문에 Disk I/O 성능이 데이터베이스 쿼리 성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있을 수 있다.1. 데이터가 10000개가 있다.2. 각 페이지는 5개의 데이터를 저..
SpringEvent와 MessageQueue기존에 MessageQueue로서 RabbitMQ, Kafka를 고려할 때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SpringEvent도 후보에 있었다.SpringEvent도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아이인데 추가적인 외부 도구 설정은 필요없다. 내부에서 비동기 작업이나 트리거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고, Application 내에서 처리가 되니 디버깅이나 로깅도 편하다. 간편한데 안 쓴 이유분산환경에는 얘가 알맞지 않다. 그야 SpringEvent는 이벤트의 발생과 Listener 호출이 동일한 JVM내에서 처리하다보니, A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Publish 호출을 B 애플리케이션의 Listener가 알 리가 없다. 클러스터 환경에선 다른 서버 노드로이벤..
목표MariaDB가 두 서버에 존재한다. 하나는 Master로, 하나는 Slave의 역할을 맡는다.이때, Slave는 Backup서버로서 Master의 장애 발생 시 I/O작업을 대체할 것이며, 이후 기존 Master와 Slave의 역할이 서로 교환되도록 하고 싶다. 그리고 ProxySQL이나 MHA같은 미들웨어가 이들을 중재하지 않을 때를 가정하여 수동으로 이 둘의 역할을 교환할 것이다. GTID 복제방식을 이용할 건데, MySQL와 MariaDB의 명령어는 차이가 있어 참고자료를 찾는다면 공식문서를 활용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Global Transaction IDImproved replication using global transaction IDs.mariadb.com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