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고회로 기록용, 무조건 맞는 말 아님. (1). 다이나믹이잖아 애초에 분류를 다이나믹으로 선택했으니, 점화식같은 게 있는지 봐야한다고 생각했음 (2). 초기 몇개의 합의 개수를 생각해보자 표시 개수 1 X 0 2 1+1 1 3 1+1+1, 1+2, 2+1 3 4 1+3, 1+1+2, 1+1+1+1, 1+2+1, 2+1+1, 2+2, 3+1 7 5 1+1+3, 1+1+1+2, 1+2+2, 2+1+2, 1+3+1, 1+1+2+1, 1+2+1+1, 2+1+1+1, 2+2+1, 3+1+1 10 6 생략 다 푼 상태에서 생각해보면 이때 함정은 1,2,3의 개수를 연관지어 생각하는 거였다 (문제를 해맨 원인) 1,2,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이 문제의 조건이고, 그에 따라 4부터 일정한 패턴이 주어지는 것을..
복습 하려고 했다 저번주에 파일입출력 다이얼로그, 바이너리형태로 직렬화 등등을 순서대로 하고 있었다 그러다 내가 그린 bin파일까지 불러와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하면 끝이었는데 수업중에 짬짬히 잘 그린 것 같아서 뿌듯 ^ㅁ^>
이 글은 도커사용을 위한 가이드 글이 아닙니다. 개인학습 기록용 포스팅입니다. 저번에 뜬 404페이지 오류를 수정하려 갖가지 방법 다 해봐도 안 되길래 뛰어넘겠다. 대략적으로, 제대로 실행되었다면 의도한대로 백엔드와의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로 페이지가 열린다. 따라서 "초기화면은 휑하다. " ctrl+c로 터미널을 종료하고, 컨테이너랑 이미지를 삭제해주자 docker stop $(docker ps -aq) docker rm $(docker ps -aq) docker image prune -a 이번엔 database폴더에서 도커를 실행해보자 # dababase폴더로 가자 이번엔 database폴더의 Dockerfile을 이용하여 msql가져오기. => mysql 5.7버전의 이미지를 다운받아 개조할 것이다..
이 글은 도커사용을 위한 가이드 글이 아닙니다. 개인학습 기록용 포스팅입니다. #Docker 파일이 뭐냐면 explorer를 보면 frontend, backend, database 각각의 폴더 안에 [Dockerfile]이 존재한다 컨테이너를 보다 더 활용하려 dockerfile이 존재하는 것임. # 어떻게 활용하냐고? 도커파일은 나만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 개념이다 초기에 nods.js를 받기위한 남의 docker이미지로 끝나지 않고, 이 이미지에 내가 원하는 옷을 입히듯이 '나만의 dockerfile'로 덮어져 만들어가는 것이다 만약 이렇게 도커파일을 업데이트 시켜주지 않고 사용한다면 서비스를 돌릴 때마다 불편함을 안고 가야한다. 예를들어, 저번 시간에 도커로 이용했던 nods.js를 받고 나..
단과대 학생회 홍보국 하면서 했었던 일들. #1. 2020년은 뭘했냐면 - 신입생&복학생을 위한 교내소개 홍보지 제작 - 과학생회, 단과대학생회 홍보지 제작 - 제휴업체 소개 홍보지 제작 - 페이스북 학생회 페이지 타이틀 및 로고 제작 - 카카오톡 오픈채팅전용 학생회 로고제작 - 2021 단과대 회장단 출마하는 선배들 포스터, 팜플렛, 슬로건 제작 잘못 만들어서 못썼던 게 답답하고 죄송한 일이었던. #2. 2021년에는 뭘 해왔냐면 - 2021년 단과대 학생회 로고 제작 - 페이스북 로고 제작 - 단과대 학생회 행사 포스터 제작 - 교내 및 단과대 주요행사 월별달력 2월, 3월, 4월 제작 - 신설 학과 과잠바 로고 디자인 / 단과대 단복 디자인 그리고 같이 일할 홍보부 친구 생겼다
이 글은 도커사용을 위한 가이드 글이 아닙니다. 개인학습 기록용 포스팅입니다. AirBNB 클론코딩하다가 그것도 터지기 시작하니 멘붕와서 도커로 돌아왔다 우선 pc재부팅시 나타나는 wsl설치 관련 안내창이 지긋지긋하여 나온대로 다시 시작했다 #1 Linux용 Windows Subsystem 설치 (for Windows 10) Instal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 on Windows 10 Installation guide for WSL on your Windows 10, with a Bash terminal, including Ubuntu, Debian, SUSE, Kali, Fedora, Pengwin, and Alpine. docs.microsoft.com 해당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