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사항Get 요청이 들어왔다요청을 보내는 path까지는 알맞으나, 데이터가 없으면 어떤 코드를 내보내야할까?http://dblab112.org/request/member?name=gimgu200, 접근 url자체는 알맞으니 요청성공(200)을 안내하고 Empty body를 반환한다400, 잘못된 요청임을 표시한다404, 리소스가 잘못된 요청임을 표시한다400 vs 404 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200 OK + Empty BodyThe HTTP **200 OK** success status response code indicates that the request has succeeded. A 200 response is cacheable by default.200(ok)는 GET, POST에 주로 사..
지난 3개월동안의 프로젝트개발팀 4인은 1주일단위의 스프린트를 계획하여 오늘까지 개발을 진행했다겨울동안 코드베이스를 맡은 선배가 Spring Security/JWT, 자체 알고리즘 제작, Swagger Docs, 로그인/회원가입등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min-0 동생이 같이 Oauth2와 docker환경의 서버를 준비했다.그리고 JHJ는 각종 테이블설계와 TDD를 위한 사전조사, API 설계를 도맡았다. 나같은 경우는 log(log4j2)쪽과 이에 대한 mongoDB를 연동을 위해 JPA 이해를 기반으로 CRUD구현과 테스트, rest 원칙을 기반으로 API를 설계하기 등을 맡았다. 우리의 목적은 크게 주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높은 큐레이팅인데, 그 전에 기본적인 API구현을 다 끝내는 것이 level1이..
2021 동계 ETRI 연구 연수생 생활을 기록합니다. (보안상 진행되는 연구실 내 프로젝트 내용은 생략합니다. ) 누구나 지난 일은 까먹는다. 나도 이제 연수생 끝난 지 한달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기억하기 어려워졌다 그래도 기억남는 것들을, 짧지만 시간순과 상관없이 뽑아낼 수 있을 것 같다. #1 제가 좋아하는 유투버가 KASI 출신인데 말이에요 내가 좋아하는 유투버가 있다. 바로 유투버의 안될과학채널 궤도님이신데, 물리학내용의 7시간 강의도 라디오 삼아서 듣게 할 정도로 매력있으시다. 언제 한 번 검색해보니 이 궤도님이 한국 천문 연구원(KASI) 출신이셨다. (KAI인줄 알았는데, 나중에 보니 또 다른 거더라.) 그런데 서치해보니 네? ETRI 부설 뭐요? 🍊 나 나, 내가 좋아하는 유투버랑 연관고리..
⚑ Node의 기본적인 특징 기본특징 비동기 방식을 이용하는 이벤트 기반 입출력 모델(Event Driven, Non-blocking I/O model) 가볍다, 효율적이다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는 실시간 프로그램에서 큰 효과가 발휘된다 Chrome과 사용하는 것이 궁합에 맞다 기존의 인터프리터(코드 한 줄씩 해석)방식에선 속도 저하가 발생하였었음 크롬의 *V8엔진은 JS코드를 native코드로 변환하여 실행하여 속도가 향상됨 server동작을 주로 함 (socket, HTTP프로토콜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포함함) *V8엔진 필요한 기능을 병렬로 실행하는 ‘thread pool’ & 이벤트를 받아 처리하는 ‘event loof’ 존재 네트워킹 기능을 담당하는 Socket, http 라이브러리 존재 ..
2학기 취업을 위하여 구인구직공고를 하루에 하나씩, 이제는 거의 100여개를 가까이 보았다. 그리고 공고에 적힌 키워드들을 공부해가고 있었다. 기업들이 원하는 스택들을 정확히 알고자 용어부터 정리하려는데, 서치하다 보니 OKKY사이트 내의 현직 근무자들의 이야기가 눈에띄었다. 그 중 하나로 이런 글이 있고. OKKY | 힘들었던 면접관 후기 쥬니니님, 오늘 배당된 이력서인데요. 감사하게도 많은 분들이 지원을 해주셨고, 덕분에 수 많은 이력서들을 검토하고 면접관으로 참여하느라 굉장히 힘들었지만, 요령도 생겼고 느낀점도 많아 okky.kr 하나의 글을 보고 모든 면접관이 이런 마음이며 이런 기대를 갖는다고 할 수는 없는 거지만, 그렇지만 몇 개월뒤의 내 모습이 부담스러워진 오늘 같은 날, 마음을 환기시키고자..
이러한 이유로, AWS를 제대로 해야겠다 결심 (oo )> 공식 홈페이지로 가자. 아마존 웹서비스의 주요 서비스로 이런 게 있다. 이중 내가 경험해 본건 EC2와 S3. 뭘 알고 썼던 건 아니다. 이젠 좀 알고 써 보자. 왜 주요서비스를 알아야 하는가 에초에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이렇다 1️⃣ Amazon EC2를 이용한다 2️⃣ EC2를 통해 가상 서버를 띄운다 3️⃣ Docker 컨테이너를 배포한다 더 편하게 쓰고 싶지 않은가? AWS에선 유저의 규모와 요구사항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많은 컨테이너 서비스를 만들었다 🍊: 긍까, 준비해줬다는데 써보자는 거지. 규모에 따른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제공 나의 프로젝트(웹, 컨테이너)가 간단하다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Amazon Li..